Patent cases 특허 거절이유: 특허신청장이 - TopicsExpress



          

Patent cases 특허 거절이유: 특허신청장이 non-enabling한 disclosure임. The patent application must provide an enabling disclosure. 특허 등록장보고 다른 발명가들이 만들수있을수 있을만큼의 충분한 비밀공개/노출이 되어야함. In re Glass § 112 특허장에 제대로 공개 안해서 (reduction to practice안됬다고 간주당하고) 거절당함/내가 먼저 신청했지만 incomplete pending된 사이 뒤늦게 filing한 이가 complete되서 prior art §102(e)뺏겨서 거절. (다른 조항이랑 겹쳐질 경우) ● Define the scope, boundary 내 발명품의 경계를 확실히 해서 나중에 patent infringe소송이 쉽게끔. ● prior art를 쓰라는게 아니고 무엇이 더 새로운건지를 공개 요구. 남이 베낄수있을만큼 재대로 공개해. ● 특허장 용어 scope의 범위를 좁히나 넓히나에 따라 yes/no reject되는거 결과가 달라짐. In re Wright 백신 약 특허 pathogenic RNA viruses 그중에 어떤거? 백혈병? AIDS? 너무 막연하다고 거절당함. One particular strain of RNA virus? Other strains of RNA viruses? 바이러스도 여러종류가 있는데 어느 특정 바이러스를 때려잡는약이라고 Pinpoint하지않음. Not specific enough, not detail oriented enough. 특허장 내용의 폭이 너무 광범위한데 발명품내용이 자세하지안으면 너무 막연하면 거절. 발명 다끝나는 완성시기/단계에서만 특허신청을 해야함. 아직 발달하는게 많은 상태이면 특허청에서 undue experiment해야하는거 싫어하고 특허거절함 ● Athletic Alternatives v. Prince 특허청에서 거절당해도 기안죽고 appeal the final rejection to the Board of Patent Appeals. Patent infringement : 특허 소송, 특허장 핵심어 (위반된 상품: Tennis racket)의 뜻의 의미의 폭 여러의미. Patent infringement construct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asserted claim, disagree over which of two possible meanings of the claim is the proper one. 한번 특허 거절당했으면 줄이고 늘려 수정해서 억지로 합격시키는 법이 있다. When amending a claim so as to avoid a rejection based on a particular reference, the skilled patent prosecutor usually seeks to draft an amendment that narrows the claim only as much as is thought necessary to overcome the rejection. 특허장을 받는 동시 특허 소송할권리가 생긴다. The purpose is to demarcate the boundaries of the purported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notice to others of the limits beyond which experimentation and invention are undertaken at the risk of infringement, to put competitors on notice of the scope of the claimed invention. Scope이 불분명하면 특허 거절이유가 된다. 막연히 설명하면 특허거절이유. 특허장 언어가 ambiguous, broad-meaning, indefinite이면 특허가 reject/invalidate된다. ; ● The Best Mode requirement: 제일 훌륭한 방법으로 만들어야 함. Enablement는 내용면으로, best mode는 방법, 테크닉기술면 따짐. Glaxo v. Novopharm그 발명가 이름으로 특허신청했는데, 회사에서 best mode는 법적으로 가르쳐주기 싫어서 발명가 Crookes를 더 완성단계 상업화하는 작업에는 참여시키지 않음. 회사에서 발명가가 생각한conceive best mode말고 따로 딘짜 발명가 제외하고 계속 연구한 best mode는 비밀로 함. 고의성 deliberate concealment of information. Filing당시의 최고 방법을 특허신청에 썼지 후에 더 좋은거 나와도 쓸 필요 X? ; ● Applied Materials v. Advanced Semiconductor Materials best mode 따질때 filing date이 중요하지 그후 update안해도 됨. 이판례는 베스트모드를 계속 업뎃을 update 계속 해야되나를 묻는판례 (다른 조항이랑 겹쳐지는 경우: 35 USC §102(b) 특허등록하기 1년 더 전에 장사한 발명품은 특허 안준다. Enablement위해 특허 신청서를 자꾸 고칠때마다 자꾸 filing date이 늦어지면 filing date1년전 sale이 있으면 특허거절에 걸리게 된다. §120, §112추가 내용을 add할때마다 원래 filing date이 유효하나? Transco Prods v. Performance Contracting best mode =/= production details : But See Wahl Instruments v. Acvious “adequate” disclosure. 용서적 관대한 법원. 구지 이것저것 scope밖의것/다아는 사실 prior art 안 이야기하는것은 best mode위반아님. 숨겨도 괜찮은거 있고 숨기면 특허취소 비밀이 있다. 숨겨도 속여도 내생각best mode아닌 이유 정당화 시키는 이유 썼으면 ok. Best mode스텝하나하나 다 가르쳐달라는 소리 아님. To so hold would turn a patent specification into a detailed production schedule, which is not its function. (Parker failed to disclose his best technique of incorporating thermochromic material inserts during the embedment molding process.) ; best mode안한거 용서해주는 명분 what can be lawfully omitted, or if omitted, thereby invalidating the patent Great Northern Corp v. Henry Molded Products Northern Telecom v. Datapoint Corp enablement따질때 무조건 yes/no 말고 totality of circumstance를 따져야함. 멀티퍀터요소 테스트: 숨겨서 이로운게 누구였나를 따져야 되고 숨김을 당해서 정보소유에 해가 대중에게 끼쳐졌나 따져야함. 특허장에 안쓰여 있다고 =/=숨기려는거 아님. To determine whether the omission amounts to concealment, such omission should be considered in light of all the circumstances. Whether the omitted information was publicly known, whether there was any benefit to the patentee of concealment, the materiality of the information, whether the interested public was actually prejudiced, any evidence tending to show good or bad faith. ● Amgen v. Chugai Pharmaceutical best mode만족위해 세포, 살아있는 생물체의 deposit이 꼭 필요할때도 있고 필요없을때도 있다. ; 병이랑 관계되는 몸의 세포 물질들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 Eli Lilly (insulin을 이루는 Cdna sequence배열순서 설명이 없다. DNA판례에서는 그 세포의 기능/효력만 이야기 하지 말고 그 세포가 무엇이지 설명자세히 해야함. 유전자 조작.), ● DSL Dynamic Sciences v. Union Switch 철강 철도 기차끼리 연결시키는 고리 coupler mount assemblies, clamps, railway car coupler 구지 100% 실험 안해도 빨리 early filing장려하는게 정책이지만 그래도 enablement, best mode는 만족시켜야함. Reduction to practice. Test to see if it actually works for the intended purpose.
Posted on: Sat, 09 Nov 2013 19:14:49 +0000

Trending Topics



ass="sttext" style="margin-left:0px; min-height:30px;"> Company Name: Tasc Employment Type: Full Time Monthly
93 years ago a woman gave birth to a baby girl. This girl was

Recently Viewed Topics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