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진 님 펌. > 아주 짧은 2분 분량의 - TopicsExpress



          

김광진 님 펌. > 아주 짧은 2분 분량의 동영상 강의가 있다. 이것도 귀찮은 사람을 위해서, 허접한 영어실력으로 한글로 번역해 놓고, 그 원본 Script도 같이 붙여 놓는다. ... 나레이팅 하시는 분은 Stephen Fry 이라는 영국의 유명 방송인이다. # < How do we know what is true? > Narrated by Stephen Fry Ever since human beings have been capable of thought, we have asked big questions about how the world around us works. Some people have thought that there is another reality beyond the one we can perceive through our normal senses -- a supernatural world where there might be ghosts and goblins, gods and demons. They have thought that knowledge can come from this source -- from supernatural revelations, prophetic visions or divinely inspired books. Others have thought that the way to learn is by observing the world around us carefully and in detail, forming ideas about why things behave as they do, testing those ideas through experiments, refining them in the light of experience, then testing them again. Out of all the various methods that people have tried to use to find out how the world works, observation, experimentation and the testing of theories against evidence has the best track-record. Prophets have predicted the end of the world on many occasions, but we are still here. Ancient holy books contain a description of the universe which has turned out to be totally inaccurate. If asked to choose between taking a medicine prescribed by a doctor whose methods are based on experiment and one who has selected medicine for you based on his visions, you will probably not choose the medicine from the vision. We may never know everything. But the testing of theories against evidence has proved itself again and again to be a reliable way to gain any knowledge about how the world around us works. Through science we have cured deadly diseases, created amazing technologies, and learned things about the universe that fill us with wonder. When we want to know whats true and what is false, there is no better method. # 인간이 사고능력을 습득한 이래로, 우리는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대한 거대 담론으로 늘 고민해 왔다. 어떤 사람들은 정상적인 감각기관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는 그 이상의 어떤 실제가 있다고 생각했었다. 바로 유령, 마귀, 신 그리고 악마과 같은 것이 실제 존재할 지 모른다는 초자연적인 세상을 상상했었다. 그래서, 이런 초자연적인 계시, 예언적 상상력 또는 성령으로 쓰여진 책자를 통해서 우리가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또 다른 사람들은 우리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연세계를 주의깊고 자세히 관찰하고 나서, 왜 자연이 그렇게 움직이는 지에 대한 의견을 만들고, 그 의견을 실험을 통해서 검증한 후, 다시 경험에 비춰서 개선된 의견을 만들어서 지속적으로 검증해 왔었다.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 지를 알기 위해서 인간이 시도한 모든 다양한 방법들 가운데서, 입증자료에 대한 관찰과 실험 그리고 이론을 검증하는 방법이 가장 휼륭한 실적을 보여줬다. 여러 예언자들이 세상의 종말이 온다고 했지만, 지금 우리는 여기서 잘 살고 있다. 고대의 종교경전들은 완전히 틀린 것으로 판명된 우주에 대한 기술로 가득차다. 누군가 상상에 기반해서 처방된 약과 실험에 기반해서 의사가 처방한 약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겠냐고 묻는다면, 아마도 당신은 상상에 기반한 약을 택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결코 모든 것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는 증거자료에 기반해서 이론을 검증하는 방법이,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확인해 왔다. 우리는 과학을 통해서 불치병을 고쳤으며, 놀랄만한 기술도 창조해 냈으며 또한 경의로 가득한 우주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우리가 어떤 것이 진실이거나 틀린 것인지 알고 싶다면, (과학적 방법론보다) 더 나은 방법은 없다. youtube/watch?v=Yk5IWzTfWeM
Posted on: Wed, 20 Aug 2014 03:59:48 +0000

Trending Topics



Recently Viewed Topics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