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후하다고 해서 시기하는 것이오? 마태오 - TopicsExpress



          

내가 후하다고 해서 시기하는 것이오? 마태오 20,1-16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이런 비유를 들어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자기 포도밭에서 일할 일꾼들을 사려고 이른 아침에 집을 나선 밭 임자와 같다. 그는 일꾼들과 하루 한 데나리온으로 합의하고 그들을 자기 포도밭으로 보냈다. 그가 또 아홉 시쯤에 나가 보니 다른 이들이 하는 일 없이 장터에 서 있었다. 그래서 그들에게, ‘당신들도 포도밭으로 가시오. 정당한 삯을 주겠소.’ 하고 말하자, 그들이 갔다. 그는 다시 열두 시와 오후 세 시쯤에도 나가서 그와 같이 하였다. 그리고 오후 다섯 시쯤에도 나가 보니 또 다른 이들이 서 있었다. 그래서 그들에게 ‘당신들은 왜 온종일 하는 일 없이 여기 서 있소?’ 하고 물으니, 그들이 ‘아무도 우리를 사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그는 ‘당신들도 포도밭으로 가시오.’ 하고 말하였다. 저녁때가 되자 포도밭 주인은 자기 관리인에게 말하였다. ‘일꾼들을 불러 맨 나중에 온 이들부터 시작하여 맨 먼저 온 이들에게까지 품삯을 내주시오.’ 그리하여 오후 다섯 시쯤부터 일한 이들이 와서 한 데나리온씩 받았다. 그래서 맨 먼저 온 이들은 차례가 되자 자기들은 더 받으려니 생각하였는데, 그들도 한 데나리온씩만 받았다. 그것을 받아 들고 그들은 밭 임자에게 투덜거리면서, ‘맨 나중에 온 저자들은 한 시간만 일했는데도, 뙤약볕 아래에서 온종일 고생한 우리와 똑같이 대우하시는군요.’ 하고 말하였다. 그러자 그는 그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말하였다. ‘친구여, 내가 당신에게 불의를 저지르는 것이 아니오. 당신은 나와 한 데나리온으로 합의하지 않았소? 당신 품삯이나 받아서 돌아가시오. 나는 맨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당신에게처럼 품삯을 주고 싶소. 내 것을 가지고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없다는 말이오? 아니면, 내가 후하다고 해서 시기하는 것이오?’ 이처럼 꼴찌가 첫째 되고 첫째가 꼴찌 될 것이다.”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 말씀에는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포도밭 주인은 이른 아침부터 일한 사람이든, 아홉 시부터 일한 사람이든, 열두 시부터 일한 사람이든, 오후 세 시부터 일한 사람이든, 오후 다섯 시부터 일한 사람이든 구분하지 않고 똑같이 당시 노동자들의 하루 품삯인 한 데나리온을 주었습니다. 참으로 비합리적이고 불공평하게 보입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기쁜 소식이 숨어 있습니다. 인력 시장을 상상해 봅시다. 품팔이 노동자들은 이른 아침부터 모여서 일손을 구하는 사람들을 기다립니다. 100명가량이 모여 있더라도 그 사람들이 다 일할 수는 없습니다. 그 가운데 건강하고 일 잘하게 보이는 사람 30명만 뽑혀 갑니다. 그러면 나머지 70명은 어떻게 합니까? 그들은 그날 돈을 벌지 않으면 살아가기 힘드니까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일손을 구하는 사람들이 또 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행여 그렇게 해서 오게 되면 그 가운데 또 20명쯤은 일터로 뽑혀 갈 수 있습니다. 이제 50명이 남았습니다. 그들 가운데 몇몇은 어쩌다 일할 기회를 얻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볼 때 매일 나와도 일할 기회를 갖기가 무척 어려운 사람들이 있습니다. 허약해 보이거나 나이 많은 노인들입니다. 그럼에도 늦은 시간까지 그 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서성댈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들이 벌어먹여야 할 식구 때문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주인이 한 시간만 일한 사람들에게까지도 하루 품삯인 한 데니리온을 준 것은 그들의 딱한 처지를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첫째가 되는 사람보다 꼴찌인 사람에게 더 관심을 두십니다. ‘주님, 도와주십시오. 당신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하며 하느님께 온전히 의탁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 하느님 나라는 바로 이러한 사람들에게 활짝 열릴 것입니다. info.catholic.or.kr/missa/?missaid=5617&gomonth=2013-08-21
Posted on: Tue, 20 Aug 2013 20:39:45 +0000

Recently Viewed Topics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