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수아 7장 1-15절 주제: 아이성 패전과 언약을 - TopicsExpress



          

여호수아 7장 1-15절 주제: 아이성 패전과 언약을 파기한 자의 최후 1. 깊이 생각하기(thinking deeply of text) 1-5절 아이정탐과 패배 이스라엘 자손들 가운데 하나님의 것을 훔친 자가 있었다. 유다 지파 세라의 증손 삽디의 손자 갈미의 아들 아간이다. 이 때문에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셨다. 여호수아가 여리고에서 벧엘 동쪽 벧아웬 곁에 있는 아이로 사람을 보냈다. 그들에게 아이를 정탐하라고 하였다. 그들은 여호수아에게 백성이 다 가지 말고 이삼천 명만 올라가게 하라고 요청하였다. 그들은 소수이기 때문에 모든 백성을 보내어 수고롭게 하지 말 것을 요구하였다. 백성 중 삼천명이 올라갔다가 도망하였다. 아이 사람이 그들을 성문앞에서 스바림까지 내려가는 비탈에서 삼십 육명쯤 쳐죽였다. 이 일로 이스라엘의 마음이 녹아 내렸다. 6-9절 여호수아의 간절한 기도 여호수아와 장로들이 여호와의 궤 앞에서 티끌을 뒤집어 쓰고 엎드려 저물때까지 있었다. 그는 하나님께 기도하였다. 주님! 이 일이 어떻게 된 것입니까? 백성을 인도하셔서 요단을 건너게 하셨습니다. 그러나 어찌하여 우리를 아모리 사람에게 넘기려 하십니까? 주여! 이스라엘이 저들에게서 도망하였으니 내가 무슨 말을 더 하겠습니까? 가나안 사람과 이 땅의 모든 사람들이 알고 우리를 조롱하여 우리 이름을 끊으려 합니다. 그러니 주의 크신 이름을 위하여 어떻게 해야합니까라고 기도하였다. 10-15절 언약을 파기한 자의 최후 여호와께서 여호수아에게 말씀하시기를 네가 나에게 엎드림은 무슨 까닭이냐! 이스라엘 내 물건을 훔치고 나의 언약을 어겼기 때문이다. 그 물건을 완전히 제하기까지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원수 앞에서 능히 맞서지 못할 것이다. 너희는 아침에 각 지파대로 일찍 나오라. 그리고 여호와께 뽑히는 그 지파와 족속과 가족이 정해질 것이다. 그가 온전히 나의 물건을 훔친 자이다. 그와 가족과 소유를 온전히 불사르라. 이는 이스라엘 가운데서 망령된 일을 했기 때문이다. 2. 잘 풀이하기(interpretation well on text) 본문의 중심 내용은 아간의 처형이다. 그러나 더 깊은 의미가 있으니 곧 하나님의 언약을 무시하는 것이다. 이는 곧 하나님의 명령을 어긴 것이며 나아가 하나님의 일을 방해하는 격이다. 그러니 아간 한 사람의 잘못을 따지기보다는 더 큰 의미가 있다. 하나님의 약속을 이행하시고 하는 공의에 있는 것이다. 이를 간파하지 못한 여호수아는 아이 성에 정탐을 보냈다. 그리고 그들의 말을 들고 아이를 공격했으나 패했다. 여호수아는 여호와의 증거궤 앞에서 재를 뒤집어 쓰고 하루 종일 회개하였다. 그 때 하나님은 제비 뽑기를 시행하라고 하셨다. 그리고 그 중에 뽑힌 자를 너희 가운데서 제하라고 하셨다. 그렇게 하여 하나님의 나라 건설에 이바지 할 수 있어야 했다. 하나님은 구원을 향한 열심으로 대의를 위해서 당신의 뜻에 버금가지 않는 것은 반드시 처단하셔야 했다. 따라서 본문의 주제는 언약의 파기로 잡을 수 있다. 다음은 세 부분으로 나눠 더 살펴보기로 한다. 첫째, 하나님의 말씀이 없었던 아이 정탐은 실패로 돌아갔다(1-5). 여호수아는 이상하리만큼 아이성 전투에서는 하나님께 묻는 바가 없었다. 그는 요단 강을 건넜을 때도 여리고 성을 무너뜨렸을 때도 하나님이 하심을 알고 있었다. 그는 아이에서도 같은 방식을 취했다. 정탐꾼들은 자신만만하였다. 그들은 보고하기를 이스라엘 온 백성이 갈 필요가 없다고 했다. 여호수아도 인정했다. 따라서 소수만이 아이성 전투에 나갔다. 하지만 결과는 참담하였다. 이에 이스라엘은 마음이 녹았다. 하나님께 묻지 않았던 여호수아의 잘못이다. 둘째, 여호수아의 회개와 하나님의 응답이 있었다(6-9). 여호수아는 자신의 실수를 알았을 것이다. 그는 하나님께 최선을 다해서 기도했다. 재를 뒤집어 쓰고 제자장들과 함께 저물때까지 여호와의 궤 앞에서 엎드렸다. 그의 기도의 내용은 온통 하나님께 대한 투정이었다. 그 기도의 내용이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투정한 내용과 같았다. 그러나 여호수아가 하나님께 구한 기도의 내용은 이스라엘 백성의 것과 전혀 다른 것이다. 이스라엘 백성은 자신들의 어려움에 대해서 투정하였다. 그러나 여호수아는 공동체의 무너질 것에 대한 염려였다. 또한 가장 중요한 회개가 우선하였다. 기도의 중심에는 언제나 회개가 앞서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하나님은 여호수아의 기도를 들어 주셨다. 셋째, 언약 공동체를 위한 청결의례가 있었다(10-15). 아주 작은 인간이 어찌 위대하신 하나님의 뜻을 헤아릴 수 있을 것인가! 하나님은 한 영혼이라도 사랑하시는 분이시다. 그러나 하나님은 온 인류 구원을 위해서 단행하셔야 하는 일이 있으시다. 그것은 공동체의 청결 문제다. 특별히 청결을 위해서 하나님이 약속을 부어주셨다. 그 약속의 내용은 다름 아닌 언약이셨다. 그 언약을 충실히 이행할 때 공동체의 청결은 유지되었다. 그러나 약속이 파기 되었을 때에는 청결을 위한 하나님의 특별한 손길이 필요했다. 이스라엘 안에서 범죄한 자 즉 하나님의 언약을 파기한 자가 아간으로 결론이 났다. 이제 하나님은 아간을 완전히 멸하셔야 했다. 그와 그의 가족이 하나님의 심판을 받음으로 이스라엘 공동체는 회복이 되었다. 3. 깨닫는 말씀(precept for living) 1. 여호수아는 아이성 점령에 대한 자신이 있었다. 그는 정탐꾼을 보냈고 그들의 말을 따랐다. 결국 아이성 공격은 실패로 돌아갔다. 원인은 하나님께 어떻게 행할지를 묻지 않았던 여호수아의 잘못이었다. 항상 하나님의 음성을 들으며 사는 자가 되자. 2. 여호수아는 잘못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그는 회개하였다.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였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공동체 성결의 회복을 위한 방법을 가르쳐 주셨다.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자가 되자. 3. 하나님은 언약 공동체의 성결을 매우 중시하셨다. 따라서 아간은 반드시 죽어야 했다. 하나님의 약속 위에 굳게 서 있는 자가 되자. 4. 손발로 옮기기(applying for context) 거룩하신 하나님은 나에게 구원을 약속하셨다. 그것은 언약 위에 굳게 서 있을 때 가능한 것이다. 나는 하나님을 알게 일에 대해서 매우 감사를 올린다. 늘 주님 안에서 살 수 있도록 나를 쳐서 복종할 수 있는 자가 되겠다. 여호수아는 그다지 큰 잘못이 없었다. 아니 그는 크게 교만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가지 하나님께 여쭈지 않고 아이성을 친 것이다. 물론 아간 때문에 실패할 수 밖에 없었다. 나는 이런 여호수아의 전철을 밟지 않기 원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여호수아의 회개의 모습을 그대로 받기 원한다. 여호수아는 제사장들과 회개하였다. 하나님은 곧 들으시고 이스라엘의 공동체 성결을 위해 여호수아에게 다음 단계를 말씀하셨다. 나는 하나님의 크신 일에 무조건 동의한다. 하나님은 홀로 하나님이시며 공의와 사랑의 하나님이시다. 나는 늘 주님의 복음을 전하며 하나님의 나라의 역군으로 거듭나겠다. 5. 기도(praying) 하나님 아버지! 오늘도 좋은 날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 인류와 나의 구원을 위해서 이스라엘을 택하시고 거룩한 공동체를 엮어 가심에 감사를 드립니다. 날마나 살아 숨시는 동안 늘 주님을 찬양하기 원합니다. 때로는 너무 나약하여 주님께 죄를 짓는 경우가 많았음을 고백합니다. 하나님께 어떻게 할 것인가를 묻지 않고 나 혼자 행동할 때도 많았습니다. 사랑의 하나님! 용서를 빕니다. 나는 주님의 일꾼으로 거듭나기 원합니다. 여호수아를 통해서 하나님의 언약을 굳게 믿고 지키기 원합니다.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따라 늘 주님과 동행하며 살기 원합니다. 성령님 도우시기 원하오며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6. 나눔(sharing) 1. 여호수아는 잠시 자신을 믿었다. 그는 아이성 정복에 실패했다. 나는 어떤 일에 대해서 늘 주님께 문의하며 일처리를 하는가(1-5)? 2. 하나님의 방식대로 제비 뽑기를 통해서 하나님의 것을 훔친 자를 찾아서 거룩을 위해서 제하라고 하셨다. 여호수아는 그대로 시행하였다. 나는 이처럼 하나님께 회복하기 힘든 자를 볼 때 어떤 마음을 가지는가(6-9)? 3. 하나님의 방식은 매정한 것보다는 더 큰 일을 위해서 단행하신 것이다. 나는 하나님의 언약 위에 굳게 서 있는가? 깊이 고민해보자(10-15). 2013. 11. 22. 최성열
Posted on: Thu, 21 Nov 2013 21:25:16 +0000

Trending Topics



Recently Viewed Topics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