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소변, Urine)의 성분이 3,000가지로 밝혀지다. - TopicsExpress



          

오줌(소변, Urine)의 성분이 3,000가지로 밝혀지다. 캐나다 알버타(Alerta) 대학을 주축으로 20개 연구소로 구성된 국제공동연구팀이 7년에 걸쳐 연구한 끝에 오줌(소변)에는 3,000가지의 화학성분(chemicals) 즉 신진대사 산물(metabolites)이 있다는 것을 밝혀내, 앞으로 이를 분석한 의료, 영양제, 신약, 환경 평가 등에 획기적인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이 연구를 주도한 수석 과학자인 위스하트(David Wishart) 박사는 "오줌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한 생유체(biofluid)입니다. 우리의 화장실 변기에 이렇게 많은 서로 다른 성분이 있을 줄 생각을 못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공교롭게도 2005년에 마지막 염색체인 X-염색체가 밝혀짐으로써 인간의 병은 3,199가지라는 사실이 발표되었었는데, 거의 같은 수치입니다. 이 연구결과는 2013년 9월 4일자 PLoS ONE에 논문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참고로 신신대사체학(Metabolome)이란 용어는 신진대사(metabolism)와 게놈(genome)의 합성어이며, 게놈은 유전자와 염색체의 합성어입니다. 이들은 핵자기공명분광기(NMR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가스 및 액체 색층분석기(gas & liquid chromatography), 대량 분광측정기(mass spectrometry) 등을 이용하고, 그간 100년 동안 오줌관련 논문을 찾아내 컴퓨터에 축적하고 데이터마이닝을 통해, 샘플 오줌의 성분을 찾아내고 정량화함으로써 3,000가지나 되는 화학물질을 찾아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Urine Metabolome Database(UMDB)라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는데, 이는 누구에게나 무료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UMDB는 캐나다 정부의 신진대사체학(metabolomics)을 주관하는 The Metabolomics Innovation Centre에서 관리하게 됩니다. 사실 역사학이나 고고학적으로 우리 조상들은 오줌을 이용하거나 분석하여 진단을 하고 치료를 했는데, 그 기원은 3,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러나 실제로 과학적으로 다룬 것은 1800년대인데, 이 당시에는 오줌의 색깔, 냄새, 맛으로 진단을 했는데, 이를 오줌 검사 또는 소변 분석(uroscopy)이라 합니다. 그리고 오늘날까지 이 소변 검사는 어느 병원에서나 행하여지고 있습니다. 특히 콩팥의 기능이나 방광의 감염을 보기 위해서는 필수적입니다. 오늘날까지 대부분의 의대 교과서에는 오줌에는 50~100개의 성분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오줌 검사는 6~7개의 성분을 검사합니다. 따라서 알려지지 않은 성분 30개를 검사에 사용하거나 100가지 성분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면 이는 진단분석에 있어 획기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3,000가지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면 이는 하나의 혁명적인 혁신이 될 것입니다. 또한 오줌 검사는 피 검사나 조직 검사에 비하여 빠르고 비용이 적게 들며 고통이 따르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들 과학자들은 인류를 위해 대단한 연구를 한 것으로 많은 과학자들이 지금 찬사를 보내고 있습니다. Bouatra & Wishart et al., "The Human Urine Metabolome", PLoS ONE, 8(9): e73076. doi:10.1371/journal.pone.0073076, 04 Sep 2013. plosone.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one.0073076 Science Daily - Human Urine Metabolome: What Scientists Can See in Your Urine(05 Sep 2013) sciencedaily/releases/2013/09/130905085919.htm
Posted on: Fri, 06 Sep 2013 09:18:04 +0000

Trending Topics



Recently Viewed Topics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