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린 원고 복귀를 포기하고 기냥 올립니다. - TopicsExpress



          

잘린 원고 복귀를 포기하고 기냥 올립니다. 지난주일 샘터교회에 오신 케냐 비숍 은톰브라의 설교 (거의)전문입니다 ㅎㅎ 뒤쪽이 조금 잘린 것 같은데 양해를...ㅎㅎ --------------------------------- The Reign of God 하나님의 통치 A: Gods original for mankind is apparent in the book of Genesis when you find God creating everything Man will need before creating man. When He finally creates Adam, it can perhaps be said Adam did not to have any hope for everything he would have hoped for was alredy there. 당신이 창세기에서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필요할 모든 것들을 남자의 창조 이전에 만들어 주셨다는 것을 발견한다면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본래 의도가 드러나게 됩니다. 그 분께서 마침내 아담을 창조하셨을 때, 그가 바라는 모든 것이 이미 그곳에 있었기에 그에게는 어떠한 바램(Hope)도 없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This is the time man who enjoed total peace in the presence of God. The peace is referred to as Shalom in Hebrew. Many times when we think of peace, we think of the word that the Jewish people use:Shalom, which we think means peace. But what it really means is order and well-being. May you have a sense of security. May you have a sense of foundation underneath your feet. 이 때는 인간이 하나님의 현존 안에서 전적인 평화를 즐길 때입니다. 그 평화는 히브리어에서 샬롬이라고 지칭됩니다. 우리가 평화에 대해 생각할 때 유대인들이 쓰는 샬롬이라는 말을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의 평화를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실제로 질서와 참존재(Wel-being)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샬롬을 말할 때 그것이 진짜로 말하는 것은 그대의 삶에서 당신이 질서있게, 참되게 살기를 바란다, 안전하다고 느끼기 바란다, 그대의 발이 (튼튼한)기초 위에 있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는 뜻이 됩니다. This Peace is a result of obedience to God and is an assurance that Hi is in control. God is therefore the source of security we are referring to. And both of those ingredients must be there for us to have a sense of peace. 이 평화는 하나님에 대한 순종의 결과이며 그가 다스리고 있다는 확증입니다. 즉, 하나님께서 우리가 안전하다고 느끼는 근거가 되는 것입니다. 이 두가지 요인 모두 우리가 평화의 감각을 가지기 위해 꼭 필요합니다. B : Unfortunately, Somthing went totally wrong. 불행하게도, 뭔가 완전히 잘못되었습니다. The fall of man became one major curse that ruined the Rule of God here on Earth. This became the main reason WHY MEN CANNOT FIND PEACE(Shalom) on their own. We are now addressing the subject of peace 60 years after the Korean War. 인간의 타락이 이 땅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망쳐놓은 단 하나의 주요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인간이 스스로 평화(샬롬)을 찾지 못하는 주된 이유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한국전쟁이 60년이나 지난 지금에야 평화의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Mankind, in his rebellion against God, likes to present his own versions of civilization in the best possible light. In like manner, the false prophets of Israel, as Ezekiel prophesied of our time, are to declare, Peace; and there was [is] no peace(13:10). God shows that peace will be elusive to those who forsake His ways. 인류가 하나님에 대항하여 반역할 때 최대한 밝은 빛으로 자기 식의 문명을 나타내기 좋아합니다. 마찬가지로, 이스라엘의 거짓 예언자들은 평화가 없으나 평화가 있다(겔13:10)고 선언해버리는 것입니다. 이는 에스겔이 우리 시대에 대해 예언한 것입니다. The governments of men simply do not work. They have never succeeded in finding permanent solutions to what are, for them, insoluble problems. They do not have the answers to mankinds biggest questions. 인간의 정부는 기능하지를 않습니다. 그들은 풀리지 않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단 한번도 찾아낸 적이 없습니다. 인류의 가장 큰 물음에 대한 해답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All nations long for peace. Leaders nogotiate of it. Armies fight for it. Many pray for it. Yet it remains more elusive than ever. But the Bible says that it will come-and soon. Heres how! 모든 나라는 평화를 바랍니다. 지도자들은 평화에 대해 협상하고 군대는 평화를 위해 싸우며 평화를 바라는 수많은 기도가 올려집니다. 아직도 그것은 영원보다 더 손닿지 않는 곳에 있습니다. 그러나 성서는 그것이 성취될 것이고 곧 성취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여기에 어떻게?라는 질문이 있습니다. The world is filled with war, terrorism, turmoil and confusion. While men have created many amazing technological inventions, they cannot create peace. Scientists have unleashed the power of the atom but are powerless to unleash peace upon earth. 세계는 전쟁, 테러, 혼란과 혼돈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인간이 엄청난 기술 발명들을 많이 만들어냈지만 평화를 만들어내지는 못합니다. 과학자들은 원자력을 세상에 내놓았지만 이 땅에 평화를 퍼뜨리는 일에는 무력합니다. Astronomers have discovered much about the size, majesty and precision of the univers, but they cannot discover the way to peace. They can find galaxies far away throughout history. It has been considered a natural state of equilibrium, while peace has been considered a period of recuperation from the previous campaign, in which preparations are being made for the next venture of conquest. 천문학자들이 우주의 크기, 장엄함과 정밀함에 대해 많은 것들을 발견했지만 평화를 발견하지는 못했습니다. 그들은 역사상 가장 멀리 있는 은하계를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그것은 균형잡힌 자연상태로 간주되었습니다. 평화에 대해 과거의 전투로부터 회복하고 다음 정복의 모험을 준비하는 동안 균형잡힌 자연스러운 상태로 생각되었습니다. A quote by Georges Clemenceau, the French statesman during WWI, accurately reflects this state of affairs: I dont know whether war is an interlude during peace, or peace is an interlude during war.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 정치가인 조르주 클레망의 말은 이런 상황들을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나는 전쟁이 평화 사이의 간주곡인지, 평화가 전쟁 사이의 간주곡인지 잘 모르겠다 Men seem to invariably go to war in search of peace. But, the outcome of war usually involves a truce, but always fails to yield permanent peace. This is because men cannot, and never will, find the way to peace on their own without outside help. In reality, they have no chance to achieve world peace. Here is why. 인간이 평화를 찾는 과정에서 전쟁으로 가는 것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그러나 전쟁은 보통 정전으로 끝나고 언제나 항구적인 평화를 만들어내는 데에는 실패합니다. 이것은 인간이 외부 도움 없이 스스로 평화로 가는 방법을 찾을 수 없고 그렇게 하려 들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현실에서 그들은 세계평화를 성취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 왜라는 질문이 있습니다. God has not yet revealed to the vast majority of mankind the solution to its unending wars, and world troubles. 끝없는 전쟁과 세계 분쟁의 해결책을 찾는 인류의 거대한 주류세계에 하나님은 아직 계시되지 않았습니다. As part of an extensive prophecy about world conditions in our time, the prophet Isaiah anwers this question: The WAY of peace they know not: and there is no judgment in their goings: they have made them crooked paths: whosoever goes there shall not know peace(59:8) The solutions of men always lead to more wars, ruin, misery, death and destruction. The apostle Paul wrote, quoting Isaiah, And the way of peace have they do NOT know: There is no fear of God before their eyes.(Rome 3:17,18) 우리 시대 세계상황에 대하여 광범위한 예언의 일부로 선지자 이사야는 이 질문에 답합니다. 평화로 가는 길을 그들은 알지 못한다. 그들이 가는 길에는 정의가 없다. 그들은 스스로 굽은 길을 만든다. 그 길을 가는 자들은 평화를 알지 못한다.(59:8) 인간의 해결책은 언제나 더 많은 전쟁, 파멸, 끔찍함, 죽음, 파괴로 이끌어갑니다. 사도바울은 이사야서를 인용하여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들은 평화의 길을 알지 못하였고 그 눈 앞에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도 없었다(롬3:17,18) Of course when the situation is like that, the peoples of the world are subjected to subtle psychological torture similar to the time Jesus was about to leave the earth. His followers were terribly distressed because they were uncertain about their future. 상황이 이러할 때에 당연히 세상 사람들은 예수께서 이 땅을 떠나실 때와 비슷하게 예민한 정신적 고문의 대상이 됩니다. 그를 따르는 사람들은 미래에 대해 확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끔찍하게 고통받았습니다. Jesus talks about his kind of peace in John 14. Do you remenber what was happening in John 14? It was the moment right before Jesus was arrested. The disciples were troubled. They felt very uncertain about the future, because Jesus was telling them that he was about to leave them. They were upset, nervous, uncomfortable. And then Jesus told them, Do not let your hearts be troubled, and do not be afraid. 예수께서는 요한복음 14장에서 그의 평화에 대해 이야기 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4장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기억하십니까? 그것은 예수께서 체포되던 그 때입니다. 제자들은 괴로웠습니다. 그들은 미래가 매우 불확실하다고 느꼈습니다. 예수께서 그들을 떠날 것이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분노했고, 긴장했으며, 불편했습니다. 그때 예수께서 그들에게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고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씀하십니다. Today, there are many types of wars to make people afraid. 오늘날, 사람들을 두렵게 만드는 전쟁의 유형이 아주 많이 있습니다. What is it that troubles you? What is it, that causes you to not sleep at night? What is it, that makes you worry? The disciples felt very uncertain about the future. How do you feel about your future? 무엇이 당신을 근심하게 합니까? 무엇이 당신을 밤에 잠들지 못하게 만듭니까? 무엇이 당신을 걱정하게 만듭니까? 제자들은 미래에 대해 매우 불안해했습니다. 당신은 미래가 어떻게 느껴집니까? Different things trouble different people. A loved one is sick or suffering - the future is uncertain. I have a friend who is trying to find a job - the future is uncertain for him. I have a family member who has health problems, and her kids have health problems, and everyday is a struggle, and the future is uncertain. What about you? 사람마다 근심하는 문제는 다 다릅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아프거나 고통당한다면 미래는 불안해집니다. 저는 일자리를 찾으려 애쓰는 친구가 하나 있는데 그에게 미래는 불안합니다. 나는 건강상의 문제를 겪고 있는 가족이 있습니다. 그녀의 아이들 또한 건강이 좋지 않습니다. 매일매일이 전투입니다. 그 미래는 불안합니다. 당신은 어떻습니까? Jesus says, Do not let your hearts, be troubled, and do not be afraid. In another part of the Bible, Jesus says, Come to me, all your who are weary and burdened, and I will give you rest. Jesus tells us that he is where you can find peace in your life. 예수께서 너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라. 또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씀하십니다. 다른 본문에서 예수께서는 내게로 오라, 지치고 무거운 짐을 진 모든 자들이여. 내가 너희를 쉬게 하겠다고 말씀하십니다. 예수께서는 우리 삶에서 우리가 평화를 찾을 수 있는 그 곳에 계시겠다 말씀하십니다. Sometimes we look elsewhere for peace. We look for peace at home as we try just about anything - harbal supplements, sleeping aids, meditation - trying to relax and find peace. 때때로 우리는 다른 곳에서 평화를 찾습니다. 우리는 허브제품들, 수면제, 명상...긴장을 풀고 평화를 찾을 수 있는 어떤 것이든 시도하여 집에서 평화를 기다려봅니다. We enter counseling to fine peace within ourselves and with one another. We read books, we read advice columns in newspapers. We keep looking and looking. 우리는 우리 자신과 타인에게서 평화를 찾으려고 상담에 들어갑니다. 책을 읽고 뉴스 칼럼을 읽고 찾고 또 찾습니다. Jesus today tells us in his Word to turn to Him, there is hope in Him. 오늘, 예수는 우리에게 돌아오라고 말씀하십니다. 그 안에 희망이 있습니다. It will not always be the way of the war. Real, lasting peace is coming. But first we need a Peacemaker capable of enforcing an enduring peace. Jesus Christ, the Prince of Peace, will be that Peacemaker. That is His assinged mission and purpose! 항상 전쟁의 길만 있는 건 아닙니다. 실제적이고 지속가능한 평화는 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먼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평화를 만들어내고 유지시키는 피스메이커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평화의 왕자께서 그 피스메이커가 되어 주실 것입니다. 그것은 그의 받은 사명이고 목적입니다. For unto us a Child is born, unto us a Son is given; and the government will be upon His shoulder. And His name will be called....Prince of Peace. Of the increase of His government and peace there will be no end(Isaiah 9:6-7) 우리에게 한 아기가 났고 한 아들을 우리가 받았다. 그 어깨에 다스릴 권세를 메었고 그의 이름은 평화의 왕자라 불릴 것이다. 그 통치와 평화가 영원히 날로 더해갈 것이다.(이사야 9:6-7) We are therefore called to give Him our obedience once we do that, Our goal will be to recruit and mobilize millions for the Kingdom of God who will permanently change the face of international missions to take on the five global governments for which the church has to become the ultimate distribution and change agent to overcom Spritual Emptiness, Self-serving Leadership, Poverty, Disease and ignorance milliteracy 우리의 목표는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수백만명을 모집하고 동원하는 것입니다. 이들의 임무는 교회가 영적 고갈, 독재, 가난, 질병, 무지와 군사적---를 이기는 최후의 분배자/변혁자가 되기 위해 5개의 세계정부에서 시행되는 국제적 정책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킬 것인데, 이 일을 해낼 때 비로소 우리는 하나님께 순종하는 사람들로 불릴 것입니다.
Posted on: Fri, 08 Nov 2013 03:25:45 +0000

Trending Topics



Recently Viewed Topics




© 2015